본문 바로가기
사업공부

전국 다이소 매장 수 및 현황 아르바이트 시급 매장 매출

by 야물딱지기 2025. 4. 8.
반응형

 

다이소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생활용품 전문점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매장을 운영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다이소의 전국 매장 수, 아르바이트 시급, 매장 매출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전국 다이소 매장 수 및 현황

매장 수 추이

다이소의 매장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2020년: 1,339개
  • 2021년: 1,390개
  • 2022년: 1,442개
  • 2023년: 1,519개

이러한 성장은 다이소가 다양한 입지 전략을 통해 고객 접근성을 높인 결과입니다. 특히 대형마트, 아울렛 등 주요 유통업체 내에 테넌트 매장을 확대하여, 2023년 기준 전체 매장 중 테넌트 매장이 19.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매장 형태 및 특징

다이소는 최근 문구, 패션, 뷰티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확장하며 '대형 매장' 중심의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넓은 공간에서 다양한 상품을 한 번에 쇼핑하고자 하는 고객 수요를 반영하여, 매장 구조도 단층 형태로 설계해 체류 시간을 늘리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차 인프라가 갖춰진 곳일수록 구매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면서, 테넌트 매장 확대가 다이소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 아르바이트 시급 및 근무 조건

시급 범위

다이소 아르바이트 시급은 지점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최저시급 수준에서 시작하여 일부 지점에서는 더 높은 시급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최저 시급: 10,030원 (2025년 기준)
  • 일부 지점 시급 예시:
    • 홈플러스일산점: 시급 9,160원 + 주휴수당 + 식비보조금 별도 지급
    • 일부 단기 알바: 시급 20,000원

근무 형태

다이소 아르바이트는 다양한 근무 형태를 제공합니다.

  • 근무 기간: 단기(1개월 이하)부터 장기(6개월 이상)까지 다양
  • 근무 요일: 주 3일, 주 5일, 주 6일 등 선택 가능
  • 근무 시간: 하루 2시간 근무부터 풀타임까지 조정 가능

일부 지점에서는 하루 2시간씩 근무하는 형태의 단기 아르바이트도 운영하며, 이러한 근무 형태는 부업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3. 매장 매출 현황

연도별 매출 추이

다이소는 매년 꾸준한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2019년: 2조 2,362억 원
  • 2020년: 2조 4,216억 원
  • 2021년: 2조 6,048억 원
  • 2022년: 2조 9,458억 원
  • 2023년: 3조 4,605억 원

이러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다이소는 2025년 매출 4조 원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매출 성장 요인

다이소의 매출 성장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합니다.

  • 상품 다양화: 문구, 패션, 뷰티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확대하여 고객층을 넓힘
  • 대형 매장 전략: 대형마트, 아울렛 등 주요 유통업체 내 테넌트 매장을 확대하여 고객 접근성을 높임
  • 고객 쇼핑 패턴 변화 대응: 넓은 공간에서 다양한 상품을 한 번에 쇼핑하고자 하는 고객 수요를 반영하여 매장 구조를 단층 형태로 설계하고 체류 시간을 늘림

4. 결론

다이소는 전국적으로 1,5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다양한 상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많은 고객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시급은 지점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저시급 수준에서 시작하여 일부 지점에서는 더 높은 시급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매출 또한 매년 꾸준히 성장하여 2023년에는 3조 4,605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