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교수 호봉별 봉급표, 의대교수 호봉별 봉급표

by 야물딱지기 2025. 9. 8.
반응형

국립대 교원(교수) 호봉별 봉급표 (2024년 기준)

국립대 교원, 즉 교수직에 해당하는 호봉별 월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원)
조교수, 부교수, 교수 등 직급별 경력환산이 다르므로, 아래 금액은 일반적인 호봉 기준 수치입니다.

호봉월 기본급 (원)
1 2,232,000
2 2,302,200
3 2,373,000
4 2,443,100
5 2,513,900
6 2,591,400
7 2,668,600
8 2,746,300
9 2,862,800
10 2,979,300
11 3,096,000
12 3,212,000
13 3,327,900
14 3,443,800
15 3,579,700
16 3,715,500
17 3,850,800
18 3,986,000
19 4,121,900
20 4,256,500
21 4,391,500
22 4,526,500
23 4,702,500
24 4,878,100
25 5,053,700
26 5,228,900
27 5,404,200
28 5,579,500
29 5,712,900
30 5,846,400
31 5,979,700
32 6,113,100
33 6,246,600

인사혁신처메타하우스


총장 봉급 (国립大 총장)

  • 국립대 총장의 경우, 학교 규모(정원) 및 종류에 따라 별도로 정해진 고정급이 지급됩니다.

호봉 결정 방식 (조교수·부교수·교수)

국립대 교원은 다음과 같이 실질 경력에 따라 호봉이 산정됩니다:

  • 교수: 대학 졸업자 기준 ‘–10년’, 전문대졸 ‘–13년’을 경력에서 차감 후, 기산호봉 +15를 더해 최종 호봉 결정
  • 부교수: 대학 ‘–7년’, 전문대졸 ‘–10년’, 기산호봉 +12
  • 조교수: 대학 ‘–4년’, 전문대졸 ‘–7년’, 기산호봉 +9
    생활법개론

실질 연봉 수준 & 비교

  • 호봉별 기본급에 연구수당, 연구과제 수익, 회의 자문료 등 수당이 더해질 경우, 국립대 교수님의 실수령 연봉은 수억 원대 또는 1억 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요약 정리

  • 호봉별 기본급(2024): 호봉 1 → 약 2.23백만 원, 호봉 33 → 약 6.25백만 원
  • 총장 기본급: 약 8.86백만 ~ 9.02백만 원
  • 호봉 산정: 경력 차감 후 기산호봉 가산 방식
  • 연봉 수준: 기본급 외 수당 포함 시 연 1억 원 이상 가능


1️⃣ 조교수 임용 시 호봉 산정

  • 호봉 계산식: (총 경력 연수 – 4년) + 기산호봉 9
  • 여기서 ‘총 경력 연수’는 대학 졸업 이후 연구, 강의, 산업체 경력 등이 포함됨
  • 예시:
    • 박사학위 취득 후 3년간 강의 경력이 있는 경우
      → (3년 – 4년) = 0 → 최소 0
      → 기산호봉 9 추가 → 9호봉에서 시작
    • 경력이 많을수록 시작 호봉이 올라감
  • 급여 수준 (2024년 기준):
    • 9호봉 = 2,862,800원
    • 10호봉 = 2,979,300원
    • 15호봉 = 3,579,700원

2️⃣ 부교수 임용 시 호봉 산정

  • 호봉 계산식: (총 경력 연수 – 7년) + 기산호봉 12
  • 조교수보다 3년 경력 차감 폭이 더 크지만, 기산호봉이 +12로 커서 실제 시작 호봉이 더 높아짐
  • 예시:
    •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간 연구·강의 경력 보유
      → (10년 – 7년) = 3
      → 기산호봉 12 추가 → 15호봉에서 시작
  • 급여 수준 (2024년 기준):
    • 15호봉 = 3,579,700원
    • 20호봉 = 4,256,500원
    • 25호봉 = 5,053,700원

3️⃣ 정교수(교수) 임용 시 호봉 산정

  • 호봉 계산식: (총 경력 연수 – 10년) + 기산호봉 15
  • 부교수보다 경력 차감은 더 크지만, 기산호봉이 +15이므로 실제 시작 호봉이 높게 책정
  • 예시:
    •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간 경력 보유
      → (15년 – 10년) = 5
      → 기산호봉 15 추가 → 20호봉에서 시작
  • 급여 수준 (2024년 기준):
    • 20호봉 = 4,256,500원
    • 25호봉 = 5,053,700원
    • 30호봉 = 5,846,400원

4️⃣ 교수 단계별 급여 성장 비교 (2024년 기준 예시)

구분산정 방식임용 시점 예시 호봉기본급(월)
조교수 (경력 – 4년) + 9 9호봉 286만원
부교수 (경력 – 7년) + 12 15호봉 358만원
정교수 (경력 – 10년) + 15 20호봉 426만원

※ 위 수치는 **기본급(봉급)**만이며, 실제 수령액은 정근수당·명절수당·연구수당 등이 포함돼 훨씬 큼.


5️⃣ 핵심 정리

  • 조교수: 호봉 시작이 9호봉 내외 → 월급 약 280만 원대에서 시작
  • 부교수: 보통 15호봉 이상에서 시작 → 월급 약 350만 원대
  • 교수(정교수): 대체로 20호봉 이상에서 시작 → 월급 약 420만 원대
  • 승진할수록 호봉 계산 시 차감이 늘어나도 **기산호봉 보정치(+9, +12, +15)**가 커서 실제 급여는 확실히 높아짐


1️⃣ 기본 급여 구조

교수의 연봉은 크게 기본급(봉급) + 각종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 기본급: 호봉에 따라 결정 (앞서 설명드린 봉급표)
  • 고정 수당
    • 정근수당: 봉급의 약 5% × 연 2회 (6월·12월)
    • 명절휴가비: 봉급의 약 60% × 연 2회 (설·추석)
    • 연구보조비: 직급별 차등 (조교수 20만 원 / 부교수 25만 원 / 교수 30만 원 / 월)
    •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등 (가족 상황에 따라 상이)
  • 성과급 성격 수당
    • 성과상여금: 1년에 한 번, 평균 봉급의 50~150% 수준 (실적 반영)

2️⃣ 조교수 연봉 예시 (임용 시 약 9~10호봉)

  • 기본급: 월 약 290만 원 × 12 = 3,480만 원
  • 정근수당: 약 290만 원 × 5% × 2 = 290만 원
  • 명절휴가비: 약 290만 원 × 60% × 2 = 348만 원
  • 연구보조비: 20만 원 × 12 = 240만 원
  • 성과상여금: 평균 약 300만 원
    ➡️ 총 연봉: 약 4,660만 원 ~ 4,900만 원

3️⃣ 부교수 연봉 예시 (임용 시 약 15호봉)

  • 기본급: 월 약 360만 원 × 12 = 4,320만 원
  • 정근수당: 약 360만 원 × 5% × 2 = 360만 원
  • 명절휴가비: 약 360만 원 × 60% × 2 = 432만 원
  • 연구보조비: 25만 원 × 12 = 300만 원
  • 성과상여금: 평균 약 400만 원
    ➡️ 총 연봉: 약 5,800만 원 ~ 6,000만 원

4️⃣ 정교수(교수) 연봉 예시 (임용 시 약 20호봉 이상)

  • 기본급: 월 약 430만 원 × 12 = 5,160만 원
  • 정근수당: 약 430만 원 × 5% × 2 = 430만 원
  • 명절휴가비: 약 430만 원 × 60% × 2 = 516만 원
  • 연구보조비: 30만 원 × 12 = 360만 원
  • 성과상여금: 평균 약 500만 원
    ➡️ 총 연봉: 약 6,900만 원 ~ 7,200만 원

5️⃣ 교수 직급별 연봉 총액 비교 (2024년 기준, 평균값)

직급임용 호봉 예시기본급(연)수당(연)총 연봉 범위
조교수 9~10호봉 약 3,480만 원 약 1,200만 원 4,600~4,900만 원
부교수 15호봉 약 4,320만 원 약 1,500만 원 5,800~6,000만 원
정교수 20호봉 이상 약 5,160만 원 약 1,800만 원 6,900~7,200만 원

✅ 정리하면:

  • 조교수 → 부교수 승진 시 약 1,200만 원 연봉 상승
  • 부교수 → 정교수 승진 시 약 1,000만 원 이상 연봉 상승
  • 수당이 누적되면서 직급이 높아질수록 실제 체감 연봉 격차는 더 크게 느껴짐


📊 국립대 교수 연차별 연봉 비교

1️⃣ 조교수

  • 5년차 (약 13호봉)
    • 기본급: 약 320만 원 × 12 = 3,840만 원
    • 수당 합계: 약 1,300만 원
    • 총 연봉 ≈ 5,100만 원
  • 10년차 (약 18호봉)
    • 기본급: 약 370만 원 × 12 = 4,440만 원
    • 수당 합계: 약 1,500만 원
    • 총 연봉 ≈ 5,900만 원
  • 20년차 (약 28호봉, 정교수 승진 전 가정)
    • 기본급: 약 470만 원 × 12 = 5,640만 원
    • 수당 합계: 약 1,800만 원
    • 총 연봉 ≈ 7,400만 원

2️⃣ 부교수

  • 5년차 (약 20호봉)
    • 기본급: 약 400만 원 × 12 = 4,800만 원
    • 수당 합계: 약 1,600만 원
    • 총 연봉 ≈ 6,400만 원
  • 10년차 (약 25호봉)
    • 기본급: 약 450만 원 × 12 = 5,400만 원
    • 수당 합계: 약 1,800만 원
    • 총 연봉 ≈ 7,200만 원
  • 20년차 (약 35호봉, 정교수 승진 전 가정)
    • 기본급: 약 540만 원 × 12 = 6,480만 원
    • 수당 합계: 약 2,100만 원
    • 총 연봉 ≈ 8,600만 원

3️⃣ 정교수

  • 5년차 (약 25호봉)
    • 기본급: 약 460만 원 × 12 = 5,520만 원
    • 수당 합계: 약 1,900만 원
    • 총 연봉 ≈ 7,400만 원
  • 10년차 (약 30호봉)
    • 기본급: 약 500만 원 × 12 = 6,000만 원
    • 수당 합계: 약 2,000만 원
    • 총 연봉 ≈ 8,000만 원
  • 20년차 (약 40호봉 이상, 정년 근접)
    • 기본급: 약 600만 원 × 12 = 7,200만 원
    • 수당 합계: 약 2,400만 원
    • 총 연봉 ≈ 9,600만 원

📌 연차별 직급 비교 요약표

구분5년차 연봉10년차 연봉20년차 연봉
조교수 약 5,100만 원 약 5,900만 원 약 7,400만 원
부교수 약 6,400만 원 약 7,200만 원 약 8,600만 원
정교수 약 7,400만 원 약 8,000만 원 약 9,600만 원

✅ 정리하면:

  • 같은 연차라도 직급이 올라갈수록 최소 1,000만 원 이상 연봉 차이가 발생
  • 조교수 20년차보다 부교수 10년차, 정교수 5년차가 더 높은 연봉을 받음
  • 연구보조비, 성과상여금, 정근수당 등이 직급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


1. 국립대 의과대학 교원 (교육 중심)

  • 일반 국립대 교수의 호봉별 기본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봉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 1호봉 교원 기준):
    • 기본급 연간 : 27,587,520원
    • 정근수당 (기본급의 10% 예상) : 약 459,792원
    •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60% × 2회) : 약 2,758,752원
    • 가족수당 (배우자 1명 + 자녀 2명 기준) : 약 960,000원
    • 연구보조비 (월 300,000원) : 연간 약 3,600,000원
      → 합계 연봉: 약 3,536만 원늦깎이 학생의 공부방
  • 거점국립대 전임교원 평균 연봉 (의대 교수 제외):
    • 약 6,000만 원 ~ 1억 1,300만 원 수준 재테크

국립대 의대 교원도 이와 유사한 수준이나, 병원 진료 업무가 포함되면 실수령액은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2. 대학병원 전임 교수 (의대 소속, 진료 중심)

  • 전임 교수 평균 연봉
    약 1억 4,156만 원 → 1억 4,584만 원 수준이며, 최근 3% 정도 인상 데일리메디
  • 대학병원 전문의 1인당 평균 연봉
    약 1억 5천만 원 ~ 2억 원, 최고 수준은 최대 4억 원 정도 Medical Times

즉, 의대 교수님들은 대학 내 교육·연구뿐 아니라 병원 진료·행정 업무까지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 국립대 교수보다 연봉이 훨씬 높게 나타납니다.


정리

구분연봉 수준 (연간, 예상)
국립대 교육 중심 교수 약 3,500만 원 ~ 최고 약 6,000만 원 이상
거점국립대 전임교원 평균 (의대 제외) 약 6,000만 원 ~ 1억 1,300만 원 재테크
대학병원 전임 교수 (의대 교수) 1.4억 원 ~ 2억 원, 최고 4억 원도 가능 데일리메디Medical Times

요약하자면:

  • 국립대 의대 교원(교수): 교육 중심 공무원 성격이라 연봉이 상대적으로 낮고, 일반 국립대 교수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교육·연구 수당 포함 시 약 4천만 원대 초반.
  • 대학병원 전임 교수(의대 교수): 진료 중심 업무 포함으로 연봉이 매우 높으며, 평균 1.4억 원 이상, 최고 수준은 4억 원도 가능합니다.

삼성병원 vs 아산병원 교수 연봉 비교

1. 요약 표

병원직급연봉 수준 (약)
삼성병원 기초 조교수 7,640만 원
  임상 조교수 9,250만 원
  기초 부교수 8,750만 원
  임상 부교수 1억 680만 원
아산병원 기초 조교수 7,250만 원
  임상 조교수 9,290만 원
  기초 부교수 8,540만 원
  임상 부교수 1억 70만 원

More Money No Problems


2. 세부 설명

삼성병원 (삼성의료원)

  • 기초 조교수: 약 7,640만 원
  • 임상 조교수: 약 9,250만 원
  • 기초 부교수: 약 8,750만 원
  • 임상 부교수: 약 1억 680만 원

서울아산병원

  • 기초 조교수: 약 7,250만 원
  • 임상 조교수: 약 9,290만 원
  • 기초 부교수: 약 8,540만 원
  • 임상 부교수: 약 1억 70만 원

※ 정교수 항목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많은 대학병원(빅5 병원)의 정교수 수준은 연봉 약 2억 원 전후로 알려져 있습니다.연예다반사


3. 분석 요점

  • 임상 교수는 기초 교수보다 약 2천만 원 이상 더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 시 연봉이 약 1,000만 원 이상 상승합니다.
  • 두 병원 모두 삼성병원 임상 부교수가 약 1억 680만 원, 아산병원 임상 부교수는 약 1억 70만 원 수준으로, 거의 비슷합니다.

4. 참고 사항

  • 이 연봉은 기본적인 연봉(봉급 및 일정 수당 포함) 기준이며, 추가적으로:
    • 수술 실적
    • 진료 실적
    • 연구 과제 수당
    • 강의료
    • 기타 성과보수
    • 연차별 수당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더해져 실제 수령액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 또한 병원 내부 직무 조건, 근무 시간, 연구·진료 실적 기준, 계약 방식 등에 따라 개별 차이도 큽니다.

 

국내 주요 대학병원(삼성의료원·서울아산병원) 교수님들의 직급별 연차(경력별) 연봉 수준에 대한 공신력 있는 공식 자료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원 공식 발표 및 언론·블라인드 등에서 언급된 평균 연봉 데이터와 함께, 경력에 따른 일반적인 상승 기대치를 토대로 추정해보면 이러합니다.


정교수 (임상 교수) 추정 연봉 및 경력별 변화

기본 정보

  • 삼성병원 임상 교수 평균 연봉: 약 1억 2,600만 원
    서울아산병원은 조금 더 높은 수준으로 약 1억 2,720만 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메디칼타임즈More Money No Problems
  • 일반적으로 조교수 → 부교수 → 정교수 단계에서 연봉이 단계적으로 상승합니다.

경력별 연차 추정 (예시)

경력 연차추정 직급예상 연봉 수준 (예상 범위)
5년차 임상 조교수 9,000만 원 ~ 1억 원
10년차 임상 부교수 1억 ~ 1억 1,000만 원
20년차 이상 정교수 1억 2,600만 원 이상, 1억 4,000만~1억 6,000만 원까지 상승 가능성

(참고: 일반 대학병원 교수 연봉이 1.8억~2억이라는 블라인드 커뮤니티 언급도 있습니다) Blindmoney수집가


참고 요약

  • 초기(조교수 단계, 5년차): 임상 조교수 기준 약 9천만 원 ~ 1억 원
  • 중기(부교수 단계, 10년차): 약 1억 원 ~ 1억 1,000만 원
  • 후기(정교수 단계, 20년차 이상): 공식 평균 약 1억 2,600만 원 이상, 성과 및 인센티브 반영 시 1.4억~1.6억 원 또는 그 이상 기대 가능

제한 사항 및 참고 정보

  • 위 수치는 공식적인 교원 호봉표가 아니라, 병원 공개 사례 및 통계로부터 추정한 값입니다.
  • 교수님의 진료 실적, 수술 실적, 연구 및 성과 인센티브, 근속연수 등에 따라 개인별 차이가 큽니다.
  • 정확한 연차별 연봉은 병원 내부 급여 체계,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내부자가 아니면 확인이 어렵습니다.
반응형